최병일 사무총장 취임

한국고등교육재단의 제 3대 사무총장으로 최병일(사진)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취임했다. 최병일 사무총장은 재단 장학생 출신으로서 미국 Yale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한국경제연구원 원장, 한국국제경제학회 회장, 한국국제통상학회 회장,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등을 역임했고, 유엔한국협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9월 1일부터 공식 업무에 들어간 최병일 사무총장은 재단이 배출한 1,000여명의 고급 인적 자산을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연계하는 동시에 디지털 혁명과 지정학적 대충돌의 시대에 미래 50년을 준비하는 글로벌 인재를 길러내는 교육•장학사업으로 발전시켜, 새로운 인재육성을 위한 혁신적 재단으로서 한국과 인류에 기여하는 세계적인 사회공헌기관으로 도약시킬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지난 9년간 다양하고 차별화된 학술사업으로 재단의 위상을 높여 온 박인국 전임 사무총장은 최종현학술원의 학술원장 업무에 전념할 계획이다.
최종현학술원-중앙일보 공동주최 특집 웨비나
“코로나19 위기와 대응, 그리고 미래”
2020.05.08






코로나19 특집 “COVID-19: What’s Next?” (1)
2차 대유행 가능성과 백신개발 전망
2020.06.30


학술원은 지난 5월 중앙일보와 공동으로 개최한 특집 웨비나에 이어, 코로나19 사태를 각 분야별로 심층 분석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그 첫번째로, 6월 30일에는 백신과 치료제, 방역 및 면역 관련 전문가를 초청하여 2차 대유행 가능성과 백신개발 전망에 대해 집중 조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준호 학장(서울대 자연과학대/해외유학 12기)의 사회로 진행한 본 행사에는, 안광석 교수(서울대 생명과학부), 김홍빈 교수(분당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Jerome KIM 사무총장(국제백신연구소), 지희정 사장(㈜제넥신)이 연사로 참여하였다. 안광석 교수는 팬데믹 종식을 위한 유일한 길은 결국 면역임을 강조하면서, 사회적 통제와 증상완화용 약물 개발, 백신 개발 등 3가지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홍빈 교수는 무증상 감염의 위험성을 설명하며, 비말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밀접, 밀폐, 밀집 등 '3밀'을 피할 것을 당부하였다. 김범준 교수는 데이터로만 보면 이미 제2차 대유행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브라질, 인도와 같이 의료시설이 부족한 국가들로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되는 것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Jerome KIM 사무총장은 현재 전례 없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 개발 상황을 긍정적으로 전망하면서, 공평하고 균등한 백신 공급을 위해 전세계가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마지막으로, 지희정 사장은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현황과 제넥신의 DNA백신을 소개하고, WHO를 포함한 다양한 전문가 집단이 공조하여 백신 사용 기준 등에 대한 논의를 함께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코로나19 특집 “COVID-19: What’s Next?” (2)
포스트 코로나, 문명 대전환
2020.07.13


최종현학술원은 코로나바이러스의 2차 대유행 가능성과 백신개발 전망에 대한 Webinar에 이어 지난 7월 13일, ‘포스트 코로나 문명 대전환’의 제목으로 ‘COVID-19 What’s Next?’ 시리즈의 두번째 Webinar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사회적 영향(Social Impact)을 분석하고 포스트 코로나 사회를 전망하는 자리를 가졌다. 염재호 前총장(고려대/해외유학4기)의 사회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두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코로나 이후의 삶’의 제목으로 진행된 첫 세션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이후에는 인간의 삶과 가치가 어떻게 바뀌고 서로 간의 상호관계가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 세션에서는 최인철 서울대 교수(서울대 심리학과/해외유학16기), 이석재 서울대 교수(서울대 철학과/해외유학17기), 장덕진 교수(서울대 사회학과), 그리고 송길영 부사장(다음소프트)이 발표를 했다. ‘포스트 코로나 사회’의 제목으로 진행된 두번째 세션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좀 더 구체적으로 사회의 조직, 교육, 언론, 문화, 그리고 공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두번째 세션에서는 마동훈 교수(고려대 미디어학부), 유현준 교수(홍익대 건축도시대학), 양정웅 극단 예술감독(‘여행자’), 그리고 이은주 교수(서울대 언론정보학과 /해외유학18기)가 발표를 했다.
코로나19 특집 “COVID-19: What’s Next?” (3)
포스트 코로나, 미중 패권경쟁
2020.07.23


최종현학술원은 2020년 7월 23일(목) 시리즈로 진행되고 있는 “COVID-19 What’s Next?” Webinar를 진행했다. 이번 Webinar는 “포스트 코로나: 미중 패권경쟁”을 주제로 하였으며, 지정학, 지경학 분야의 대표 전문가들이 초정되었다. 해당 행사는 오전 9시부터 최종현학술원 홈페이지와 Youtube를 통해 생중계되었다. 먼저 지정학적 리스크를 다루고자 윤영관 교수 (서울대 외교학과), 정재호 교수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전재성 교수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윤세리 변호사 (법무법인 율촌/해외유학4기), 김성한 원장(고려대 국제대학원)이 발표를 진행했다. 발표자들은 미중 갈등을 이념, 제도, 상호인식 측면에서 분석하고, 최근 논란이 된 코로나 법적 책임 문제 및 한미동맹을 논의했다. 세션 후반부에서는 6명의 발표자, 성태윤 교수 (연세대 경제학부/해외유학20기), 허대식 교수 (연세대 경영대학), 안덕근 교수 (서울대 국제대학원/해외유학20기), 최병일 교수 (이화여대 국제대학원/대학특별/1기), 지만수 연구위원(한국금융연구원), 김병연 교수(서울대 경제학부)가 지경학적 측면에서 포스트 코로나 환경을 점검했다. 발표자들은 글로벌 경제질서 및 공급사슬, 통상질서, 기술패권 경쟁 그리고 중국 및 북한 경제 상황까지 논의했다. 세션 발표 이후 박인국 학술원장이 토론을 이끌며 코로나 이후 다가올 세계적 및 지역적 변화를 진단함으로써 Webinar를 마무리했다.
국제학술교류지원사업(ISEF) 초청학자 소식

국제학술교류지원사업(ISEF)은 중국 및 아시아 각국에서 우수한 학자들을 한국으로 초청하여 1년 또는 6개월 동안 한국에 체류하며 국내 대학 또는 연구소에서 한국학자와 협력연구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019-2020년도 20기 ISEF 초청학자로는 24명이 선발되어 작년 9월부터 한국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중 10명이 1년의 방한 연구를 마치고 8월 말에 자국으로 귀국할 예정이다.
[20기 ISEF 귀국학자 명단 및 연구주제]
이름 | 소속대학 | 협력기관 | 연구주제 |
---|---|---|---|
YANG Chuanqing | 남개대 | 서울대학교 규장학한국학연구원 |
Research on Ci-poetry and Ci-poetry Studies through Different Dynasties of Korea |
REN Zengxia | 남개대 | 서울대학교 규장학한국학연구원 |
Research on the Spread and Influence of Classical Chinese Novels and Operas in the Joseon Period (1392-1910) |
CAO Yanqiu | 요녕대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Comparative Research on Regulation of Rural Trash between China and Korea |
LIU Wei | 요녕대 |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
Research on Chinese reports in modern Korean newspapers |
GUO Yonghu | 길림대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
The US Congress’s Legislation on the Korean Nuclear Issue and Its Influence |
YANG Hui | 산동대 | 서울대학교 중어준문학과 |
Studies on Sino-Russian Literary Relations (1899-1949) |
ZHANG Lei | 중국전매대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A Comparative Analysis of Hallyu Studies in China and Korea |
WEI Shan | 무한대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
The Comparison Analysis of the Labor Quality between China and Korea |
SODNOM Doljin | 몽골국립대 | 숭실대학교 법과대학 |
International Investment Arbitration |
GARIDJAV Bayarmaa | 국제울란바토르대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Mongolian Suffixe Flexionnel terminatif |
[21기 ISEF 입국학자 명단 및 연구주제]
이름 | 소속대학 | 협력기관 | 연구주제 |
---|---|---|---|
BI Yingda | 산동대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
Research on Balanced Development of South Korea-US Alliance and China-South Korea Relation in Changing Order of Northeast Asia |
XIU Jing | 길림사회과학원 | 서울대학교생태조경 ㆍ지역시스템공학부 |
The Bias Effect of Technical Change from the Energy-saving and Low-carbon Environmental Regulation in Northeast Asia |
DONG Jingzheng | 요녕대 |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
Changes in the Subject Structure of Urban Grassroots Social Governanc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subjects |
LI Xin | 상해사범대 |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
Uncomfortable Cohabitation to Competitive Alliance: US-Japan-Korea Triangular Relations from a Chinese Perspective |
YUE Hao | 청도대 | KAIST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
Supervisory Control of Complex Concurrent Systems with Unreliable Resources |
LI Mingyu | 연변대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Trade-offs of Multiple Urban Ecosystem Services Based on Land Use Scenario in Tumen River Cross-border Regional |
GAO Xingai | 연변대 | 서울대학교 규장학한국학연구원 |
Comparison of Modern Neo-Confucianism between Lee Sang-eun and Park Jong-hong |
DASHKHUU Khasbaatar | 몽골국립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
Study on Heavy Oil Catalytic Cracking Using Layered Double Hydroxide |
한국고등교육재단 해외유학장학생 장학증서수여식
2020.07.07


Dream Lecture 특별웨비나
<포스트 코로나: 우리가 살아갈 세상> 개최
2020.07.04






한국고등교육재단은 2020년 7월 4일(토) <포스트 코로나- 우리가 살아갈 세상>을 주제로 청소년을 위한 드림렉쳐 특별웨비나를 개최하였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지쳐있는 전국의 학생들이 온라인으로 각 분야의 석학들을 만나볼 수 있는 지식나눔의 장을 마련한 것이다.
2020년에는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을 비롯하여 수능 일정 연기와 같이 청소년들의 삶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앞으로 학생들이 살아갈 코로나 이후의 세상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하고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4명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강연을 듣고, 선발된 학생들이 온라인 참여단으로 활약하였고, 사회는 류정민 교수(연세대 인문학연구원/해외유학 27기, 한학연수 18기)가 맡았다.
이현숙 교수(서울대 생명과학부)는 코로나와 관련된 주요 원리를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하였고,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코로나19 극복법을 제시하였다. 이어 안덕근 교수(서울대 국제대학원/해외유학 20기)는 여러 국제기구를 소개하며 각 기관의 역할과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한 자질 등 실질적인 조언을 제공하였다. 최인철 교수(서울대 심리학과/해외유학 16기)의 “코로나 바이러스는 불행 바이러스인가?” 강연에서는 코로나와 사람들(연령/성별/성격 별) 간 행복지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미래에 대한 희망적인 메시지를 들여다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성호 교수(서울대 법의학교실)는 “Morti Vivos Docent- 죽음을 바라보며 삶을 생각한다”라는 강연을 통해 다소 생소할 수 있는 법의학에 대한 상세한 정보뿐만 아니라 삶과 죽음에 대하여 이야기 함으로 학생들이 앞으로 살아갈 세상과 삶에 대해 한층 더 깊게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한국고등교육재단은 2020년 하반기에도 전국 각지의 교사와 학생들의 뜨거운 관심과 요청으로 환경, 4차산업혁명, 행복, 그리고 교육이라는 주제로 드림렉쳐 특별 웨비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2020 상반기 드림렉쳐 방문특강




드림렉쳐 연사 신청 및 기타 문의
E dreamlecture@kfas.or.kr T 02-6310-7870
한학·중국어 심화연수 프로그램 제4기 선발 및 제2기 수료
2020.08.31

지난 7월 한학·중국어 심화연수 제4기 장학생이 선발되었다. 서류전형, 필기전형, 면접전형을 거쳐 선발된 제4기 장학생들은 연수기간 동안 사서삼경을 암송하고 고급 중국어 수업을 이수하게 된다. 또한 2018년 선발되었던 제2기 장학생 4명은 시경을 강독하는 2년차 과정을 마치고 8월 31일 수료했다. 한학·중국어 심화연수 프로그램은 재단 장학 프로그램 중 하나로, 한학과 중국어 모두 통달하여 한중 양국과 전세계에서 동시에 활약할 수 있는 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제 6차 Deep Dive 워크샵 개최
2020.08.24

최종현학술원은 8월 24일(월) 제 6차 Deep Dive 워크샵을 개최했다. 약 40여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다양한 정치 및 안보 현안을 논의했다. 1세션에서는 북한 SLBM 확장억제, 미국의 핵전략 및 미국의 동북아 SLBM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2세션에서 참가자들은 드론, 우주 경쟁 및 소형 위성, 미사일 경쟁 및 MD 그리고 고체연료 제한 해제의 의미를 분석하며 행사를 마무리했다. Deep Dive 워크샵은 비공개로 진행되는 심층 토론 프로그램으로서, 최종현학술원에서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이창용 IMF아시아태평양국장 특강 통합단행본 출판

최종현학술원은 2016년, 2018년, 그리고 2020년의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된 이창용 IMF아시아태평양국장(해외유학 7기)의 강연 내용을 통합한 단행본 「아시아 경제, 성장과 불확실성」을 출판하였다. 본 출판물은 ‘글로벌 경제 전망과 아시아의 도전(2020년 강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2018년 강연),’ 그리고 ‘아시아 경제의 주요과제: 중국을 중심으로(2016년 강연)’의 세 주제를 강연록 형태로 풀어냈으며, 각 특강마다 전문가 대담 및 청중과의 질의응답 사항, 그리고 한국과 동북아 경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등을 함께 담고 있다.

CHEY-CSIS 공동주최 “Geopolitical Risks &
Scientific Innovation” 컨퍼런스 프로시딩 출판

최종현학술원은 2020년 1월 30-31일 미국 CSIS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와 공동주최한 “Geopolitical Risks & Scientific Innovation”컨퍼런스 내용을 담은 프로시딩을 출판했다. 본 출판물은 박인국 학술원장, Kathleen HICKS 소장(CSIS), 서욱 참모총장(대한민국 육군), 원인철 참모총장(대한민국 공군)의 환영사와 개회사, 세션 별 주요 시사점, 그리고 세션 요약이 포함되어 있다. 최종현학술원 홈페이지(chey.org)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